728x90 [본업 : 건설업 안전관리자]/건설업 안전관리자16 건설현장에서 현장과 본사의 역할 현장 업무를 하다 보면, 현장단위에서 해야 하는 업무가 있고 본사에서 지원해야 하는 업무가 있다. 하지만 이를 무시하고, 모든 걸 현장에서 하도록 지시만 하면 그게 본사의 업무일까? 예를 들어보자. 안전고리를 최하사점을 고려해서 체결하는게 계속적으로 잘 지켜지지 않고 있다. (참고로 최하사점이란? 추락 시 로프를 지지한 위치에서 신체의 하사점까지의 거리를 말한다.) 생명줄 등을 설치해서 그곳에 안전고리를 걸고는 있지만, 빔포스트가 설치하기 어려운 곳은 바닥에 축 쳐진 생명줄에 걸고 있다보니 최하사점을 준수하기가 쉽지 않다. 이럴 때 본사의 업무가 무엇일까? 계속적으로 지켜지지 않으면, 본사 차원에서 원인을 분석하고 현장에 적용 할 만한 기준을 수립해 줘야 한다. 단지 하나의 현장에서만 지켜지지 않는게 아.. 2022. 11. 23. 외국의 안전인증 받은 안전화가 현장에서 법적으로 문제 없을까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안전인증) 및 시행령 제74조(안전인증 대상기계 등) 1항 3호에 의거 안전화는 안전인증(KCS)을 받은 제품만이 사용하다. 가끔씩 JSAA(일본보안용품협회) 등과 같이 타국가의 안전인증을 받은 안전화(ex. 아식스 등)를 건설현장에서 착용하고 작업하시는 분들을 확인 할 수 있다. 과연 법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을까? 관련해서 아무리 찾아도 답변을 찾을수가 없어 직접 국민신문고에 문의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을 받았다. 1. 안녕하십니까? 고객상담센터 인터넷상담과 천상희입니다. 귀하께서 국민신문고 홈페이지를 이용하여 주신데 대하여 감사드립니다. 2. 귀하께서는 ‘인증 안전화의 사용’에 대하여 질의한 것으로 판단되며, 아래와 같이 답변드립니다. 가. 산업안전보건법 제84조 및 같은 법 시.. 2022. 11. 21. 신규 협력회사가 오면 건설업 안전관리자가 해야하는 3가지 현장에서 근무를 하면, 당연히 신규 협력회사가 들어온다. 신규 협력회사는 현장의 안전규칙 등을 충분히 숙지를 못했기에 안전관리자의 직무로써 충분히 지도/조언을 해야 한다. 개인적으로 신규 협력회사가 오면 많은 걸 확인해야 하지만 최소한 3가지는 실시해야 한다고 개인적으로 생각을 한다. 첫번째는 "시공계획서를 통해 작업방법 확인"이다. 작업을 하기에 앞서 "시공계획서"를 작성하는 건 당연하다고 생각하지 않나? 하지만 현장에서는 다양한 협력회사가 오고, 특히 영세한 협력회사인 경우 이 조차도 작성하지 않고 작업을 하려고 한다. 그리고 무엇보다 위험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작업방법을 알아야 하는 건 당연지사다 모든 작업의 안전은 작업방법을 인지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두번째는 "위험성평가를 통해 사전 위험요인 .. 2022. 11. 17. [현직 대기업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건설현장 안전관리자에는 2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국내 3대 기업 중 하나인 회사에서 안전관리자로 근무중인 직원입니다. '안전관리자'란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안전보건관리책임자(보통 현장소장)을 지도 조언하는 업무를 맡고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안전관리자는 안전분야 만큼은 현장소장 뿐만 아니라 시공관리자 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많은 안전관리자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현장 소장님들은 안전관리라 함은 현장에 나가 있는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이것은 안전관리자가 아니라 안전감시단의 업무입니다. 결론적으로 건설현장에서 안전의 업무를 맡고 있는 직책은 "안전관리자"와 "안전감시단"이 있습니다. 먼저 안전관리자는 산업안전보건법에 의거하여, 관리감독자(시공관리자)와 안전보건관리책임자(현장소장)가 법적인 업무를 놓치고 있을 때 .. 2022. 11. 15. 돈 모으기 좋은 직업 (feat. 월 300만원 이상, 의/식/주 지원) 안녕하세요. 건설안전관리자로 근무중인 직원입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건설업을 종사하시는 분이 돈을 모으기 좋은 직업군의 상위권이 될 것같습니다.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직원을 말합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높은 월급 : 일이 고된만큼 다른 직업군에 비해 월급이 높습니다. 건설업 월평균이 300만원 이상입니다. 관리자는 좀더 높은 월급을 받을수 있을 것입니다. (최근 52시간으로 인해, 업무 강도는 예전보다 좋아졌습니다!!) 2. 의식주 비용 절감 : 현장에서 근무시, 숙소/식사/의복을 모두 지원합니다. (회사마다 다를수 있지만..) 3. 다른거 할시간이 없다!? : 장점이기도 하고 단점이기도 한데, 현장과 숙소만 왔다갔다 하기에 다른데 돈을 사용하고 싶어도 시간이 없습니다. 그래서 .. 2022. 11. 11. [건설현장 KPI(빅데이터 관리)] 건설현장에는 무슨 KPI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현직 대기업 건설현장 안전관리자로 근무중인 직원입니다. 먼저 KPI란 무엇일까요? KPI란 핵심성과지표(Key Performance Indicator)를 뜻합니다. 쉽게 말해, 안전활동을 데이터화 하여 수치로 관리를 하는 것을 말합니다. 앞에서도 말했듯이, 안전관리는 Management라고 언급했습니다. 기업에서 실적을 관리하여 작년에 비해 몇%로 상승했는지 등을 관리하듯이, 안전관리도 수치로 관리가 되어야 합니다. KPI에는 크게 3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선행 KPI가 있습니다. 선행 KPI는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사전에 진행하는 활동들을 수치화 한것으로 교육 및 점검 실시율 등이 있습니다. 두번째, 현행 KPI가 있습니다. 현행 KPI는 현재 수준을 평가할수 있는 지수로서, 법규준수.. 2022. 11. 11. 이전 1 2 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