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현장이 소규모 이면 안전관리자만 배치가 되는데,
현장이 크면 클수록 안전관리자를 보조하는 안전감시단이 투입 되어야 한다.
현장이 대규모 일수록 공사금액이 커짐에 따라 법적으로 선임해야 하는 안전관리자 수는 증가한다.
이러다 보니, 인력을 관리하는 부서 또는 리더쉽에서 안전팀 인력이 넘치는 것을 착각한다.
그리고 대규모 현장에서 안전감시단까지 투입을 하지 않으면, 안전관리자가 안전감시단 업무까지 수행해야 한다.
내가 생각하는 안전관리자와 안전감시단 업무를 구분해 보았다.
[안전관리자]
안전관리자의 주요 업무는 PDCA 등 안전체계와 법적인 항목을 관리하는 것이다.
즉, Process를 구축하거나 원활하게 이뤄지는지 확인하는 업무가 중요하다.
안전관리자도 당연히 현장을 점검하고 확인하는 것은 맞다
하지만 하루종일 현장만 보고 있다면, 누가 안전 Process를 확인하고 개선하는가?
이런 상황에서 현장만 집중되고 안전 Process가 무시되니 발전이 미흡한다.
[안전감시단]
안전감시단은 안전관리자를 보조하여 현장을 안전하게 관리해야 한다.
안전감시단은 현장에 특화되어, 현장에서 불안전한 행동과 상태를 제거하는 것이 주 업무이다.
그리고 안전관리자의 요청에 따라, 안전 Process가 잘 되는지 확인해 주는 손/발의 역할이다.
리더쉽에서 이런 사항들을 고려하여 인력운영을 했으면 한다.
728x90
'[본업 : 건설업 안전관리자] > 건설업 안전관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돈 모으기 좋은 직업 (feat. 월 300만원 이상, 의/식/주 지원) (0) | 2022.11.11 |
---|---|
[건설현장 KPI(빅데이터 관리)] 건설현장에는 무슨 KPI가 있을까요? (0) | 2022.11.11 |
[현직 건설현장 안전관리자 이야기] 산업안전보건법과 건설기술진흥법에 의거한 업무 구분하기 (0) | 2022.11.11 |
시공관리자를 경험해 본 안전관리자 고찰 (0) | 2022.11.10 |
건설현장은 왜 끊임없이 사고가 발생할까? (2) | 2022.11.09 |
댓글